📋 목차
사출성형에서 냉각은 전체 사이클 타임의 50% 이상을 차지해요. 그만큼 효율적인 냉각 설계는 제품 품질과 생산성 향상의 핵심이에요.
하지만 많은 설계자들이 제품 형상만 고려하고 냉각 라인을 단순 반복하는 실수를 해요. 그 결과, 수축, 뒤틀림, 표면 불량, 싸이클 증가가 발생하죠.
내가 생각했을 때, 냉각 라인은 ‘눈에 안 보이는 고급 설계’예요. 이 글에서는 냉각 라인의 중요성과 제대로 설계하는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 💧
❄️ 왜 냉각 라인이 중요한가요?
사출성형 공정에서 제품이 식는 시간 = 냉각 시간이에요. 이 냉각 시간이 길어지면 싸이클 타임이 늘어나고, 짧으면 수축·뒤틀림이 발생해요. 효율적인 냉각 라인 설계는 제품의 정밀도, 생산성, 품질 모두에 영향을 줍니다.
- ✔ 싸이클 타임 단축 → 냉각 효율이 높을수록 생산 속도 향상
- ✔ 치수 안정성 향상 → 온도 편차가 작을수록 수축률 일정
- ✔ 불량률 감소 → 웰드라인, 에어트랩, 변형 발생 억제
📋 냉각 라인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요약표
냉각 상태 | 제품 영향 |
---|---|
균일한 냉각 | 변형 적음, 수축 일정 |
냉각 불균형 | 뒤틀림, 웰드라인, 싸이클 증가 |
⚠️ 냉각 불균형이 제품에 미치는 영향
냉각이 고르게 되지 않으면 제품의 수축률, 내부 응력, 기계적 강도에 큰 영향을 줘요. 특히 얇고 넓은 제품이나 고정밀 부품일수록 냉각 편차에 민감하게 반응해요.
- ❌ 뒤틀림
→ 양쪽 냉각 속도 차이로 인한 응력 불균형 - ❌ 치수 편차
→ 수축률 차이로 설계 치수와 다르게 형성 - ❌ 기포/크랙
→ 냉각 속도 차이로 수지 내부 응고층 불균일 - ❌ 표면 요철
→ 외곽부위 빠른 냉각 → 중앙부 요철 생김
📋 불량 유형 vs 냉각 원인 매칭표
불량 현상 | 냉각 원인 |
---|---|
변형 및 뒤틀림 | 채널 배치 불균형 |
수축 과다 | 냉각 편차 + 수지 과압입 |
웰드라인 약화 | 냉각 시간 부족 |
📐 냉각 라인 설계 시 고려 요소
냉각 라인은 단순히 ‘물을 흘리는 통로’가 아니에요.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금형 전체의 열균형, 수축률, 제품 품질이 결정되기 때문에, 금형 설계 초기 단계부터 치밀하게 고려돼야 해요.
- ✔ 수지 두께에 따른 채널 거리 조절
→ 두꺼운 부위일수록 가까운 냉각 라인이 필요해요 - ✔ 냉각 흐름은 병렬이 아닌 직렬
→ 일관된 유량 확보가 중요 - ✔ 심(SIM) 분석 결과 반영
→ 금형 내부 열 분포 시뮬레이션으로 최적화 - ✔ 좌우 대칭 구조
→ 한쪽만 과냉되면 제품이 휘어질 수 있어요 - ✔ 인서트 부품 주변 냉각 강화
→ 열이 집중되는 부위엔 전용 채널 필수
📋 냉각 라인 설계 시 체크포인트 요약
항목 | 권장 조건 |
---|---|
냉각 채널 직경 | 6~12mm |
성형면과 거리 | 15~25mm |
채널 간격 | 60~100mm |
🔄 냉각 채널 배치 방식 비교
냉각 채널은 금형 내부에서 열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는 설계가 핵심이에요. 제품 구조, 사이즈, 벽 두께에 따라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적용해야 불량 없이 고른 냉각이 가능하죠.
📋 주요 냉각 배치 방식 정리표
배치 방식 | 특징 | 적용 예 |
---|---|---|
직선형(스트레이트) | 가공 간단, 길이 제한 있음 | 소형 사각형 제품 |
사이클형(순환식) | 냉각 효율 균일, 가공 난이도 ↑ | 중대형 정밀 제품 |
스파이럴형 | 곡면, 원형 형상에 적합 | 병뚜껑, 캡, 원형 용기 |
- ✔ 스트레이트: 구조 단순, 유량은 불균형 가능성 있음
- ✔ 사이클형: 설계 난이도 있지만 균일한 냉각 가능
- ✔ 스파이럴형: 회전체, 원형에 유리하며 성형 수축 최소화
⚠️ 실제 불량 사례 분석
냉각 라인 설계가 미흡하면 금형 상태는 멀쩡해도 제품에서 예상치 못한 불량이 발생해요. 다음은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례들과 그 원인을 정리한 내용이에요.
- ❌ 사례 1: 스마트폰 케이스가 휘어진다
→ 좌우 냉각 라인이 비대칭으로 배치됨 → 한쪽만 과냉각 - ❌ 사례 2: 제품 끝단에 기포가 자주 생긴다
→ 수지가 도달한 부위는 냉각되었지만, 유입이 늦은 쪽은 고르게 식지 않음 - ❌ 사례 3: 제품 광택이 부위마다 다르다
→ 중심부와 테두리의 온도차가 커서 응고 속도 차이 발생 - ❌ 사례 4: 금형은 멀쩡한데 불량률이 높다
→ 냉각수가 한쪽만 순환되며 흐름량 불균형 발생
📋 냉각 실패 → 제품 불량 사례 정리
문제 | 냉각 설계 원인 |
---|---|
변형 발생 | 냉각 불균형, 좌우 온도차 |
기포 발생 | 냉각 시간 부족, 채널 위치 불량 |
광택 불량 | 냉각 선형 편차 |
✨ 최적 냉각 설계를 위한 팁
냉각 라인을 잘 설계하면 불량률 감소 + 생산성 향상 + 금형 수명 연장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어요. 아래 팁은 현장에서도 바로 적용 가능한 실전 기준이에요.
- ✔ 성형면과 일정한 거리 유지
→ 보통 15~25mm 간격이 이상적 - ✔ 냉각 흐름은 대칭
→ 편심 냉각 방지 → 제품 뒤틀림 예방 - ✔ 냉각 채널은 단순하고 직선적
→ 유속 저하, 막힘 현상 방지 - ✔ 수지 흐름 방향과 냉각 흐름 고려
→ 수지 종결부 중심 냉각 강화 - ✔ CAE 해석 툴 적극 활용
→ 시뮬레이션으로 온도·응력 분포 확인
📋 냉각 최적화를 위한 실전 설계 팁
항목 | 설계 기준 |
---|---|
채널 직경 | 6~10mm |
성형면과 거리 | 20mm 전후 |
채널 간격 | 60~80mm |
❓ FAQ
Q1. 냉각 채널은 무조건 대칭으로 설계해야 하나요?
A1. 제품 구조에 따라 유동적으로 설계하되, 가능하면 대칭이 바람직해요.
Q2. 채널이 너무 깊으면 안 되나요?
A2. 네. 냉각 효과가 떨어지고 성형면까지 열이 전달되지 않아요.
Q3. 냉각 채널도 시뮬레이션이 가능한가요?
A3. 가능합니다. Moldflow, Moldex3D 등으로 유동·냉각 해석이 가능해요.
Q4. 스파이럴형은 어떤 장점이 있나요?
A4. 곡면 제품에 최적화되며 유동 경로가 길어 냉각 균형이 좋습니다.
Q5. 냉각 라인 유지보수는 어떻게 하나요?
A5. 정기적으로 스케일 제거제 세척과 유량 체크를 병행하세요.
Q6. 냉각 유로에 공기 혼입되면 어떻게 되나요?
A6. 열 교환 비효율로 냉각 불량이 생기고 수지 변형률이 커져요.
Q7. 채널 직경은 작을수록 좋은가요?
A7. 아닙니다. 유량 저하와 막힘 위험이 있어 적절한 굵기가 필요해요.
Q8. 냉각만 잘하면 불량이 줄어드나요?
A8. 네. 냉각은 품질 안정성과 싸이클 타임을 동시에 잡는 핵심입니다.